📑 목차
[자전적 소설] - 11회: 파출소로 가는 길 - 고아원 입소 결심
11회: 파출소로 가는 길 - 고아원 입소 결심
[자전적 소설] - 10회: 파란 우산의 추억 - 팔지 못한 우산※ 이 글에는 과거의 가정폭력/학대 경험에 대한 간접적 묘사가 포함됩니다. 노골적·상세한 표현은 지양합니다. 불편하실 수 있으니 주
realstorybook.com
12회: 대기통의 밤 - 고아원에서의 시작
※ 이 글에는 과거의 가정폭력/학대 경험에 대한 간접적 묘사가 포함됩니다. 노골적·상세한 표현은 지양합니다. 불편하실 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그곳에서 내 복수는 다시 모양을 달리했다. 책부터. 글자부터. 아침 종이 울리면 일어나고, 배식판을 비우고, 틈만 나면 칠판을 오래 바라보자. 내 이름을 칠판 위에 갖다 놓을 날까지, 손을 먼저 들자. 누구보다 많이 묻자. '너를 힘으로 이긴다'가 아니라 '나를 공부로 세운다.' 그 문장을 나는 마음속에 조용히 적었다.
밤이 되자, 복도의 형광등이 하나씩 꺼졌다. 천장에는 벌레가 동그라미를 그리며 돌았다. 이불을 당겨 턱까지 끌어올리자, 소독약 냄새가 더 진해졌다. 눈을 감자, 파출소의 자판 소리와 호송차의 금속성 떨림이 한꺼번에 되살아났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 소리 위로 또 다른 소리가 겹쳤다. 종소리. 교문 옆 구령대에서 들리던, 시작을 알리는 소리.
나는 이불 속에서 아주 작은 목소리로 말했다.
"공부."
한 글자였다. 그러나 그 한 글자가 이곳의 밤을 조금 덜 차갑게 만들었다. 그리고 나는 알았다. 복수는 누군가를 무너뜨리는 일이 아니라, 내가 무너지지 않는 일을 오래 반복하는 것임을. 내 고아원 생활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처음 고아원의 문턱을 넘던 날, 우리는 줄을 서서 상담실 앞에 섰다. 소독약 냄새와 젖은 걸레 냄새, 형광등의 백색소음이 공기를 눌렀다. 내 차례가 오자 상담원이 카드에 이름을 적기 시작했다. 끝 글자에서 그의 펜이 엇나갔다. 한 획이 덜했고, 소리가 틀렸다.
"그게 아니에요. 제 이름은 ○○○. 끝에 이렇게요."
나는 몇 번이나 말했다. 상담원은 고개만 끄덕이고는, 같은 틀린 글자를 또박또박 눌러 적었다. 도장이 '퍽' 하고 내려앉았다. 빨간 잉크가 번졌다. 그 순간, 내 이름은 카드 위에서 다른 사람이 되었다. 더 말해봤자 소용없다는 걸 알아차리고, 나는 입을 다물었다. 그날 이후로 누가 그 틀린 이름을 부르면, 내가 먼저 돌아보는 사람이 되었다.
아동보호소는 내가 상상한 '공부를 시켜주는 곳'과 달랐다. 먼저 '대기통'이라 불리는 곳으로 들어갔다.

일정 기간을 거기서 보낸 뒤, 1통, 2통, 3통… 십몇 통으로 흩어져 배정된다 했다. 대기통의 방은 좁았고, 그 안에 서른 명, 마흔 명씩 들어찼다. 철제 침대가 이층으로 포개져 있었고, 바닥엔 고무 대야와 닳은 슬리퍼가 줄을 섰다. 방마다 '방장'이 있었다. 우리보다 훨씬 큰 아이, 굳은살이 박힌 손, 짧은 명령어.
대기통 전체를 관리하는 직원이 있었고, 그의 눈빛은 마치 교도소장 같았다. 규칙은 간단했다. 말 안 들으면 기합, 말 대꾸하면 몽둥이. 체벌은 언제든 사용 가능한 문장부호처럼 방 안에 매달려 있었다.
다음 회차 예고|〈13화: 담을 넘는 밤〉
낮의 정문은 실패했고, 비 오는 밤에 담이 낮아진다.
나는 어떤 신호를 기다렸고, 어디로 내려섰을까?
→ 다음 회차 읽기 │ 목차로
'자전적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4회: 다시 잡혀온 날 - 두 번째 대기통 (0) | 2025.11.04 |
|---|---|
| 13회: 담을 넘는 밤 - 첫 번째 탈출 (0) | 2025.11.04 |
| 11회: 파출소로 가는 길 - 고아원 입소 결심 (0) | 2025.11.03 |
| 10회: 파란 우산의 추억 - 팔지 못한 우산 (0) | 2025.11.03 |
| 9회: 엄마의 말 - 다시는 오지 말거라 (0) | 2025.11.02 |